기독교인들에게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은 그들의 정체성을 정하는 본질적인 문제다. 진정으로 거듭난 기독교인들도 내주하는 죄의 영향으로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을 잃어버리고 생활할 수 있다. 죄 사함과 구원을 확신하는 흔들리지 않는 근거는 무엇인가? 죄로 말미암아 양심의 깊은 곳이 하나님의 진노를 느끼고 고통을 받을 때 영혼은 어디에서 피난처와 쉴 곳을 찾을 수 있는가? 피난처와 출구는 오직 하나님의 자비와 용서일 것이다. 존 오웬은 시편 130편을 통해서 더 구체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은혜 언약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신 믿음’이라 밝힌다.
신자들이 죄 사함을 받았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오웬은 시편 130편 주해를 통해서 흔들릴 수 없는 죄 사함의 근거를 제시한다. 예리한 관찰과 치밀한 연구로 신자가 영적 침체에 빠지는 이유를 진단하며 침체에서 벗어나는 길을 처방한다. 그리고 처방에 머물지 않고 완전한 확신에 머무르기를 원하는 신자들에게 성경적인 믿음과 신앙의 길을 제시한다.
[저작 목적과 배경]
창세 전에 하나님의 택하심을 받아 성령의 거듭나게 하는 역사를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고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한 영혼도 마귀와 내주하는 죄로 말미암아 죄가 주는 깊은 수렁에 빠질 수 있다. 오웬은 시편 130편 강해를 통해서 영혼이 죄로 말미암아 빠지는 ‘깊은 곳’이 무엇인지 규명하며 목회적인 동기에서 죄와 확신의 문제를 다룬다. 그는 겸손한 심령으로 시편 130편 강해를 통해서 하나님의 집을 섬기려고 하며 목회적이고 실천적인 관점에서 신자들이 이 시편 130편을 통해서 하나님 안에 있는 은혜와 용서를 발견하고 구원에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저작 동기를 밝힌다. 이런 목적을 위해 그는 ‘하나님께 있는 용서’라는 주제를 천착하기 시작한다.
시편 130편에서 성령의 계획은 죄책에 사로잡혔다가 하나님 안에 있는 은혜와 용서를 발견하고 구원에 참여하는 한 영혼의 경우를 시편 기자의 인격과 상태를 통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을 주석하는 데 있어서 나의 계획과 노력은 오직 우리에게 시편을 통해 주어진 한 믿는 영혼의 모습을 확대해서 이 영혼의 모습이 더욱 잘 보이도록 하고, 이 영혼에 대해 묘사하는 표현들이 더 잘 이해되도록 하며, 이 영혼과 동일한 상황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이 영혼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더 잘 이해하고 식별할 수 있는 빛을 주고자 함이다. 이런 목적을 가지고 나는 죄와 은혜라는 이 두 주제에 대해, 특별히 여기서는 ‘하나님께 있는 용서’라고 불리는 둘째 주제에 대해 더욱 깊이 살펴보려고 한다.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 문제는 오웬이 깊은 관심을 가졌던 주제였다. 특별히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에 관한 오웬의 연구는 목회적이며 실천적이다. 제네바의 종교 개혁자 존 칼빈(John Calvin)의 영향이 영국에는 존 오웬을 비롯한 청교도들과 스코틀랜드에는 존 낙스(John Knox)를 비롯한 개혁가들이 개혁을 주도해 나갔지만 오웬이 태어나서 활동하던 시기(1616~1683년)는 종교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격동의 시기였다. 구원의 확신 문제에 대해 로마 가톨릭은 그 가능성을 부인했다. 다른 한편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같은 아르미니우스 신학자들은 신자가 구원을 잃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신학적 소용돌이에서 오웬은 구원의 확신이라는 개혁주의 입장, 즉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은 하나님의 은혜로 끝까지 견인되며 종국에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개혁주의 입장을 변호할 필요를 느낀다. 이런 의미에서 이 주제는 신학적이라기보다는 목회적이라 할 수 있다. 오웬이 이 주제를 신학적으로 논의할 필요성을 절감한 것에 대해 싱클레어 퍼거슨(Sinclair B Ferguson)은 이렇게 말한다.
청교도 가르침에서 제한 속죄론과 예정론은 종종 개인의 확신이라는 문제를 일으켰다. 이 주제를 논의할 필요성은 신학적이었다. 그러나 그 필요성은 휠씬 중요하게 목회적이었다… 따라서 오웬이 이 주제를 다루기 시작할 때 그가 이룬 신학적 작업은 개인적 경험의 결과이다. 사실 오웬이 확신을 다루는 것은 부분적으로 어떻게 자신이 신앙의 확신을 누리게 되었는가를 글로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오웬이 죄 사함과 신자의 구원 확신이라는 문제를 천착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이 문제를 신학적, 철학적 입장에서 규명하기보다는 오히려 확신 문제로 영적 갈등을 경험하는 신도들에게 죄 사함과 확신의 근거는 흔들릴 수 없고 무너질 수 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가르치려는 목회자로서의 목회적인 동기가 훨씬 크다고 하겠다.
오웬은 개인적으로 죄 사함과 확신 문제로 영적 갈등을 겪었던 당사자로 시편 130편을 주해하고 있다. 조엘 비키(Joel Beeke)는 오웬이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 문제로 두 번의 영적 위기를 겪었다고 지적한다. 오웬은 1639~1643년 약 5년 동안 구원의 확신 문제로 영적 갈등을 겪었다. 그는 이 문제로 깊은 좌절감과 우울을 겪었다. 그러나 해결책은 뜻밖의 장소에 있었다. 1643년 오웬은 엘더맨베리 채플(Aldermanbury Chapel)에서 유명한 장로교 목사 에드먼드 칼라미(Edmund Calamy)의 설교를 듣기 위해 사촌과 함께 예배에 참석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이 유명한 설교자는 없었고 대신 무명의 설교자가 강단에 올라 설교하게 되었다. 하나님은 죄 문제로 갈등을 겪는 어거스틴을 위해 동네 초동의 입을 통해서 “집어서 읽으라”라고 말씀하셨다. 어거스틴이 집어서 읽었던 성경 본문은 다름 아닌 로마서 13장 14절이었다.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을 일을 도모하지 말라”는 말씀으로 영적으로 죽어 있던 어거스틴을 깨우셨던 것처럼 이 무명의 설교자가 선포했던 말씀을 통해서 오웬이 고민하고 번민했던 문제를 해결해 주셨다. 무명의 설교자가 설교했던 본문은 마태복음 8장 26절 “어찌하여 무서워하느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라는 말씀이었다. 이 말씀이 구원과 확신의 문제로 깊은 침체에 빠져 있던 오웬에게 위로와 평안을 가져다주었고 자신의 구원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리고 또 다른 영적 위기가 오웬으로 하여금 시편 130편을 주해하게 했다. 시편 130편 서언에서 오웬은 이렇게 말한다.
주님은 쓰라린 고통을 겪고 있는 나에게 기쁘게 찾아오셨다. 쓰라린 고통으로 나는 무덤 입구까지 내려갔고 그곳에서 나의 영혼은 공포와 어둠으로 짓눌렸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비롭게 시편 130장 4절 말씀 “그러나 사유하심이 주께 있음은 주를 경외하게 하심이니이다”의 강력한 적용을 통해서 내 영혼의 눌림을 덜어 주셨다.
오웬이 경험했던 영적 위기를 고려해 볼 때 시편 130편 주해는 오웬이 개인적으로 겪었던 영적 여정에 대한 자신의 설명임에 틀림없다.